✅ 1. CPU의 Hz (헤르츠)란?
- Hz는 **"초당 몇 번 일할 수 있는지"**를 나타내는 단위야.
- 예: 3.0GHz → 1초에 30억 번 작업할 수 있다는 뜻 (GHz = 기가 헤르츠)
✅ 2. 이 “한 번”이 뭐냐?
CPU는 전자 신호의 진동에 맞춰서 일을 해.
이 한 번의 진동 주기를 **"클럭 사이클(clock cycle)"**이라고 불러!
🔁 이걸 쉽게 말하면:
클럭 사이클 = CPU가 한 번 ‘띡’ 하고 일하는 한 템포
그래서 1Hz = 1초에 1번 "띡"
→ 3GHz = 1초에 30억 번 "띡띡띡..."
✅ 3. 그럼 한 번 "띡" 할 때 뭐가 일어남?
이건 CPU 내부에서 어떤 명령을 어느 정도로 세분화해서 처리하냐에 따라 달라.
하지만 기본 개념은 이래 👇
- CPU는 **명령어(Instruction)**를 처리하는 게 일이야.
- 어떤 명령어는 클럭 1번에 처리되기도 하고,
- 어떤 명령어는 클럭 2~4번 이상 걸리기도 해 (복잡한 계산 등)
예:
- 간단한 덧셈 → 1~2 사이클
- 곱셈, 메모리 접근 → 3~4 사이클
- 복잡한 연산 → 5~10 사이클 이상
✅ 4. 쉽게 말해보자!
비유:
- 🕒 클럭 사이클 = 공장 알람벨: "띡!" 하면 작업자들이 다음 일 시작
- ⚙️ CPU = 공장 일꾼: 띡 소리마다 일 하나씩 처리
- 🧮 명령어 처리량 = 일의 종류에 따라 몇 번의 벨 소리가 필요한지 달라짐
✅ 한 줄 정리:
Hz = 초당 "띡" 소리 횟수 / 클럭 사이클 = 그 한 번의 띡 / 띡마다 CPU가 명령어를 조금씩 처리한다.
'IT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T 상식] 명령어 처리량 (IPC) (0) | 2025.04.10 |
---|---|
[IT 상식] cpu와 ssd와 ram의 관계 (0) | 2025.04.09 |
[IT 상식] 메모리(RAM)와 캐시(Cache)의 차이점 (0) | 2025.04.08 |